위성정당, 그 끝나지 않은 논쟁
지난 2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뜨거운 주제였던 '위성정당'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국회 구성의 불균형을 집중 조명하며 민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음을 지적했습니다.
권영국 후보의 날카로운 지적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권 후보는 22대 국회의석 분포를 예로 들며, "법조인은 전체 인구의 0.1%에 불과하지만 국회의석의 20%를 차지한다"며 국회의 불균형을 꼬집었습니다. 반면 200만 농민 중 국회의원은 단 1명, 900만 비정규직 노동자 중에도 단 1명밖에 없다는 현실을 지적한 것입니다. 이는 국민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강한 비판으로 이어졌습니다.
각 당의 해명과 반응
이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위성정당 문제에 대한 법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국민의힘과의 협의가 쉽지 않다는 이유를 들며 난색을 표했습니다. 한편,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선거법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반대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이재명 후보가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국회 의석의 다양성을 위한 노력 필요
이번 토론회에서는 위성정당 문제를 포함한 국회 구성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습니다. 권 후보는 "여야가 합의하여 위성정당 방지법을 도입하자"고 목소리를 높였으며, 이는 다수 청중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김문수 후보가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보편적인 대표성을 위한 혁신적인 정치 개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모든 후보들은 약속과 행동이 일치하는 정치를 보여줘야 할 것입니다. 위성정당 논쟁은 단순히 제도적 문제를 넘어, 국민들이 진정 원하는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첫걸음일 것입니다.
```

